보험이야기/암,뇌,심장

뇌 건강을 위해 협력하는 세포들! / 알츠하이머병과 파킨슨병에 대한 연구

보험에진심 2025. 4. 22. 07:00
반응형

 

안녕하세요

보험에 진심인 김태영 입니다.

 

보험은,

얼마에 가입하느냐 보다~

어디에 가입하느냐 보다~

어떻게 가입하느냐 보다~

제일 중요한건!!

누구에게 가입하느냐가 가장 중요합니다.

 


 

오늘은 뇌 건강을 위해 협력하는 세포들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앞서 소개해드린 치매 보험에 대한 내용은

아래 사진을 누르면 확인 가능하니

미리 보고 오시길 바랍니다.

 

https://blog.naver.com/elancar7/223828161771

 

치매에 준비할수 있는 보험? / 노후자금으로 활용도 가능하다고?

#치매보험 #노후자금 안녕하세요 보험에 진심인 김태영 입니다. 보험은, 얼마에 가입하느냐 보다~ 어디에 ...

blog.naver.com

 

 

 

1901년 알츠하이머가 만난

특이한 치매 환자가 있었습니다.

출처: 나무위키

51세의 여성이었으며~

환자는 간단한 질문에도 횡설수설하는 불안정한 상태가

지속되었으며, 심지어 고기를 먹으면서도 시금치를

먹고 있다고 말할 정도였습니다.

결국 병세가 빠르게 악화되어 5년뒤 사망하였는데요

 

알츠하이머는 망자 가족의 동의를 얻어 뇌를 연구했어요.

당시의 최신 기술로 뇌 조직을 염색하여

비정상적으로 꼬여있는 신경섬유와 단백질

덩어리를 발견하였는데요.

출처: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1906년 독일 정신과학회에 새로운 퇴행성

뇌질환인 '알츠하이머병'을 최초로 보고하였습니다.

 


 

그로부터 1세기가 넘는 시간이 흘렀지만

알츠하이머병의 발병원인과 기전은 아직까지

명확하게 밝히지 못하고 있습니다.

 

두가지 단백질 정도가 주된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을 뿐입니다.

 

첫번째는,

베타아밀로이드 입니다.

이것은 세포막 구성 아밀로이드 전구체 단백질에서 유래된 것으로,

(전구체: 신경세포의 성장과 보호에 중요 역할 수행)

베타아밀로이드가 과도하게 생성되어 뭉쳐지면

단백질 덩어리인 "아밀로이드 플라크"가 형성됩니다.

 

두번째는,

타우(Tau) 입니다.

뇌세포 내에서 물질 이동 통로 역할을 하는 미세소관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타우에 인산이 과도하게 결합하면 타우가 미세소관에서

떨어져 나와 서로 엉키면서 신경섬유가 꼬이는 현상을

초래합니다.

 


 

2024년 2월, 중국 연구진이 "알츠하이머병 발병 전 뇌의 변화"를

20년간 연구한 것을 발표했습니다.

연구대상은 중국 인지노화연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참가자 중 알츠하이머병이 발병한 사람과 건강한 사람의

각각 600여명 입니다.

연구주제는 베타아밀로이드와 타우 단백질의 변화인데요

 

연구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알츠하이머병 발병 과정

->18년전 뇌에서 베타아밀로이드가 축적되기 시작

->11년전 타우 단백질이 변형되면서 질병 진행

->10년전 타우 단백질의 변형 심화, 뇌 손상 가속화

->9년전 신경 손상의 뚜렷한 신호가 나타나기 시작

->8년전 기억과 학습을 담당하는 해마 감소 시작

->6년전 인지 기능 저하가 드러나며 질병 진단

 

"

베타아밀로이드가

알츠하이머병의 발병을 알리는

초기 신호를 제공하고

이후 타우 단백질의 변형이

병을 악화시킨다

중국 연구진의 해석

"

 


 

파킨슨병은 알츠하이머병 다음으로 흔한

퇴행성 뇌질환입니다.

1817년 영국 의사인 제임스 파킨슨이 처음으로

관찰하고 기록했습니다.

 

파킨슨병이란?

뇌 흑질의 도파민 생성으로 신경세포 손상으로

인한 운동장애 질환입니다.

원인은 아직 명확하지는 않지만

유전적 요인, 독성 물질 등이 지목됩니다.

 


 

2021년 영국 연구진이

장내 미생물이 파킨슨병의 발병 및

진행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을 제시했습니다.

 

파킨슨병이 있는 사람의 장내 미생물은

건강한 사람과 달라서,

유익균이 줄어들고, 특정 세균은 과도하게 증가,

특히 면역기능과 염증 반응을 조절하는 짧은사슬지방산을

생성하는 세균이 감소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짧은사슬지방산이란?

장내 미생물이 섬유질을 먹고 만들어내는 물질,

장 건강을 유지, 면역 조절, 뇌 보호 역할 수행합니다

이 물질은 피를 타고 뇌까지 가서,

뇌와 장을 소통하게 하고 뇌를 보호합니다.

 

즉, 파킨슨병이 장내 미생물 변화의 원인 혹은 결과

일수 있고, 장내 미생물이 뇌 건강과

연결된 요소라는 점은 분명한 사실입니다.

 


 

퇴행성 뇌질환은~

뇌세포가 점차 손상되거나 죽으면서

뇌기능이 저하되는 질환을 말합니다.

 

2024년 현재 퇴행성 뇌 질환의 순위는

1위

알츠하이머병

 

2위

파킨슨병

이 차지하고 있습니다.

 

2024년 9월,

유럽 연구진이 신경 손상 완화 및

신경세포의 죽음을 지연시키는 세포 간

반응을 발견했습니다.

 

*미세아교세포

뇌에서 면역 기능을 담당하고,

병든 세포를 정리하고 해로운 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합니다.

일명 뇌의 청소부라고 불리는 세포입니다.

 

미세아교세포와 신경세포 사이에

"나노튜브"라는 미세터널이 형성될수 있다는

사실이 새롭게 발견되었는데

이 나노튜브는 두 세포를 연결해

세포 내부의 물질을 주고 받도로고 하는 통로 역할을

합니다.

 

나노튜브를 통해 신경세포에 쌓인

해로운 단백질 덩어리가 미세아교세포로

이동해 처리된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또한 미세아교세포가 손상된 신경세포를 살리는

건강한 미토콘드리아를 전달한다는 것도 발견했어요.

 

 

*미토콘드리아

세포의 에너지를 생성하는 기관으로

세포내 발전소로 불립니다.

신경세포가 스트레스를 받을때 이 기능이

저하될수 있습니다.

이때 미세아교세포는 신경세포를 돕는

역할을 한다는 것입니다.

 


 

계속되는 연구들로 통해

알츠하이머병과 파킨슨병과 같은

퇴행성 뇌 질환의 진행을 늦추고,

궁극적인 치료에 새로운 돌파구가 열리길

바래야겠죠?

 


 

오늘 내용 어떠셨는지요?

보험에 대해서 궁금한 점이 있거나

상담이 필요한분이 계실거 같아요

 

아래 사진을 눌러서 상담을 신청해주세요

문자로 문의하고 싶은 분도 계시지요?

그래서 제가 준비했습니다.

아래 사진을 누르면 문자 발송 기능이 실행됩니다.

상담을 희망하는 내용을 문자로 보내주세요

 

항상 가까운 곳에서 여러분의 연락을 기다립니다.

편안한 마음으로 연락주세요

 


 

"가장 후회 없는 선택은, 저와 만나는 것입니다."

반응형